취업

최종면접 D-1! 면접 예상 질문 Top 20 점검하기 (feat. 뤼튼, GPT-4)

슐슐리 2023. 8. 22. 14:44

내일 최종면접을 앞두고 준비가 미흡할까봐 불안한 상태이다.

혹시 많이 물어보는 질문 중 내가 놓치고 준비 못 한 부분이 있을까봐 뤼튼 (GPT-4)를 이용해 면접 예상 질문 Top 20을 뽑아보았다. 그리고 내 준비 상태를 점검해 보기로 했다. 

 

 

1. 자기소개

임원면접이므로 실무적인 부분을 강조하기 보다는 간략하게 40초정도 분량으로 국문, 영문 준비해두었다.

 


2. 우리 회사에 지원하게 된 동기

역시 국문, 영문 답변을 준비했다. 내가 회사를 고를 때 중점적으로 보는 부분, 그리고 그 부분이 지원하는 회사에 어떻게 부합하는지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3. 이 직무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와 역량은 어떤 것이 있을까?

직무는 사실 계속 해왔던 것이고, 고등학교 때부터 계~~~속 하고 싶었던 직무이기 때문에 문제 없이 솔직히 답변할 예정이다.

 

 

4. 팀에서의 역할과 협력 경험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사례

PM으로 근무했던 경험에 대해 쓰면 될 것 같다.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과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키울 수 있었던 사례에 대해 말하려고 한다.

 


5. 실패한 경험이 있다면, 그 원인과 극복한 방법은?

ㅠㅠ개인적으로 이 질문이 너무 어려워서 마땅한 사례를 준비 못했다. 굳이 물어본다면.... 웨비나 홍보에 실패했던 사례에 대해 말하려고 하는데,,,, 실패한 원인이 너무 짜쳐서 ㅎㅎ;; 이 사례를 실제로 면접에서 쓸 수 있을지... 모르겠다.

 


6. 당신이 생각하는 리더십의 정의와 본인의 리더십 스타일은 어떤 것인지

리더십은 구성원 모두와 조직의 성장, 발전을 위해 뚜렷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구성원들을 적절히 이끄는 역량을 말한다!!! 라고 말할 계획이다. 이것도 준비 안했는데 급 gpt한테 물어봐서 썼다.

대학교 때 리더십 관련 강의를 수강하며 여러 리더십 형태에 대해 배웠는데, 나는 서번트 리더십 유형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조금 더 다듬어서 서번트보다는 서포팅 리더십 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임원면접이니,, 혹시 서번트라는 단어에 거부감을 느끼는 임원분이 계실 것 같아서이다) 구성원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개인의 장점과 역량을 존중해 최적의 팀워크를 조성하는 리더십 유형이라고 둘러둘러 말하고자 한다.... ㅎㅎ지금 포스팅 하면서 새로 만든 답변이네,, 민망,,ㅎ

 

 

7. 회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구체적인 문제 상황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일단 상황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신속하게 판단하고 ->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을 통한 대안 확보 -> 구체적 실행 계획 수립 -> 실행 및 모니터링 -> 결과 확인 -> 평가 및 피드백

이런 프로세스로 대처하는게 정석이 아닐까 싶다,........ 과연 이걸 면접에서 조리있게 말할 수 있을꼬ㅠ

 

 

8. 직무 관련 성공적으로 일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역량은 무엇인지 

커뮤니케이션 역량 사례 돌려막기 + 데이터 분석 역량 사례 ㄱㄱ

 


9. 본인만의 시간관리 및 일정 조율 전략은 어떤 것이 있을지

오 이건 단점 사례로 돌려막기가 쌉가능 할 것 같다. PM으로 근무할때 회사의 마이크로매니징을 당하며,,ㅎ,, 아침마다 to-do list를 작성하는게 습관이 되었는데, 이게 나름 유용하다. 이거 그대로 말하면 되겠다.

 


10. 자신의 가장 큰 장점 한 가지를 말씀해주세요.

커뮤니케이션 사례 뇌절 ㅆㄱㄴ.

근데 더 인성적인 부분이라면 유학하며 길러온 책임감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을 것 같음

 

 

11-12: 포트폴리오 및 프로젝트 경험 중 가장 자부심 있는 작업 하나를 소개해주세요.

데이터 분석 역량을 적.극.활.용해서 성공적인 프로모션 기획한 사례를 위인전마냥 부풀릴 예정

 

 

13. 긍정적으로 문제 상황을 받아들여 유동성있고 창조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은?

오,, 준비 안했는데,,,,,, 음 ,,, 문제 상황을 오히려 도전의 기회로 인식하기.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 자체가 새로운 도전이 될 수 있다라는 긍정적인 마인드셋으로, 유동성있고 창조적인 접근 ㅆㄱㄴ

 

 

14: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그 장단점

커뮤니케이션 사례 마지막 문단 활용하기

 

 

15. (14번의 꼬리질문)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셨는지 설명해보시라.

14번과 동일

 

 

16. 워크라이프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본인만의 방법

취미 생활을 어필(?)할 예정이다. 특히 스트레스가 많이 쌓인 경우에는 취미 활동을 위한 시간을 따로 빼서 취미활동에 집중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할듯하다.

 

 

17. 최근 읽으신 책 중에서 인상깊었던 책 한 권과 그 이유는?

ㅠ최근에 읽은 책 주식 차트 분석 책인데ㅠㅠㅠㅠ 예전에 읽은 자기개발서 내용을 가져가야겠다. 공백기에도 끊임없이 스스로 동기부여 하고자 읽었다고 하면 될 것 같다.

 

 

18. 동료와의 갈등 상황에서 어떻게 해결했는지 구체적인 사례

이것도 평화의 상징 비둘기 같은 나에게는 너무나 어려운 질문이다. 갈등이 있었던 사례가 진심으로 없다...

지어내면 좋겠지만,,, 대략 갈등 해결 방안에 중점을 맞춰 말할 것 같다...ㅠ...

 

 

19. 본인이 회사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은?

이건 아주 구체적으로 준비해따. 다행이다...

 

 

20. 5년 후, 10년 후 자신의 모습을 어떻게 그리고 있으며, 이 회사에서 이루고 싶은 목표는?

이것도 맨날 물어보는 단골 질문인데 솔직히 5년 후, 10년 후엔........ㅎㅎ... 디지털 노마드로 생활하며 경제적 자유를 누리며 살고 싶다.... 그치만 포장하여.. 지원하는 이 회사에서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그려야겠다. 대충 5년 후엔 중간 관리자, 10년 후엔 마케팅 리더로서의 내 모습을 당차게 그려보겠다.

 

 

 

면접은 보면 볼수록 어렵다. 아주 열심히 준비한 면접에서는 너무 실망스럽도록 실력 발휘를 못 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전날 1시간쯤 준비한 면접에서는 아주 청산유수인 경우도 있다.

너무 긴장하지만 않기를 바라며,, 말하는 감자만 되지 않기를,, 내 자신을 열심히 마케팅 하고 올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두근두근.. 오늘 포스팅 끝!